초등학생 때 라블레의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을 읽으려고 많이 노력했지만 찾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살던 곳이 촌이라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대학에 가서 보니 아직 번역이 없었던 것이었다. 군 시절엔 토스타인 베블런의 서적들이 아직 대체로 번역이 안되어 있다는 것에 놀란 적 있다. 하긴 도덕정조론이 번역된 것도 그리 오랜 일이 아니니까.

한국어로 된 고전이나 주요 논문이 많은 건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고전이나 최신 주요 논문을 읽는 한국 사람이 많은 건 아니지만, 읽는 이는 보통 학자지망생이거나 기타 엘리트 층이기 마련이고, 이들이 세계 최신 조류나 그 근간에 밝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영어로 보면 된다고 하지만, 나같이 영어 모르는 자도 있는데다가 여튼 모국어가 더 이해가 빠르기 마련이니까.

난 사실 그래서, 과기부나 문체부 등에 산하기관을 하나 신설해서 석박사를 갓 마치거나 혹은 박사과정에 있는 자 중 최대 2년 정도를 고용한 다음, 미번역된 고전이나 최신 논문들을 번역하는 작업을 시키는 국가적 사업을 하면 어떤가 싶다. 번역과업은 상업적 출판 가능성이 낮은 저작물 중심으로 하는 것이니 민간 시장을 훼손할 가능성도 낮고. 일종의 장학금 사업으로 볼 수도 있거니와, R&D 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문사철 같은 취업이 어려운 전공 연구자에게도 고루 기회가 갈(사실 더 갈)수 있을 것 같다.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과기부 소속 과학기술혁신본부나 문체부 소속 신설 조직에 “번역과업 선정위원회” 기능을 부여한다. (2) 공공기관을 설립하여, 최소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들을 2년 이내 기간동안만 채용한다. (3) 번역과업 결과물은 원칙적으로 전자적으로 공개한다. 저작권 없는 경우 국공립 도서관 및 홈페이지에, 저작권 있는 경우 상업적 출판도 고려한다. (4) 저작권 해결 등을 위한 일반 공공기관직원으로 구성된 지원부서를 둔다.

500명 정도의 젊은 학자를 고용한다고 하면, 소책자 형태의 논문을 1인당 연간 6-7편 번역가능하다고 하면, 1년에 약 3,000편 정도를 번역할 수 있지 않나 싶다. 매우 적은 수 이지만 지금보단 현저히 낫잖아(....) 1인당 연 4천만원을 준다고 치면 인건비로 200억원을 지급하게 된다. 대한민국의 연간 R&D 예산의 0.1%다.

연구자 관점에선 3천편이면 “1년에 자기 분야 논문이 1편 번역됨”이라는 소리라서(......) 큰 효용이 없을 거 같은데, 근로장학금 개념으로 바꿔서 연봉주지 말고 번역시키면 이제 번역시장 교란 우려가 있다. 차라리 처음부터 학부생이나, 관련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면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1) 구글번역기가 충분히 발전해버리면 소용없는 제도가 된다 (2) 국문학/국사학 연구자는 여전히 구제가 안된다 (3) 효과성이 너무 간접적이라 기재부 통과가 안될 것이다, 는 문제가 남긴 한다.

논문의 저작권 문제는 내가 잘 모르는 과제라 이렇게 해소 가능한 것이긴 한지 잘 모르겠다.

Posted by Chloey
,